[주식 핫이슈]코스닥에는 어떤 이평선이 가장 좋을까?

안녕하세요. 개미 사단장입니다.


차트를 보실 때 많은 분들께서 이동평균선을 사용하시는데 사용하실 때마다 어떤 이평선을 사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많으실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그 고민을 해결하고자 이평선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해 보았습니다. 


단기 이평선으로는 4일이 최고

시장을 파악할 때 단기 이평선으로 주로 5일이나 10일 사용하시는데 어떤 단기 이평선이 코스닥에 가장 좋은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02년 1월 1일부터 2023년 8월 1일까지의 코스닥 지수를 이용하여 4, 5, 6, 7, 8, 9, 10, 15, 20, 30일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코스닥 지수의 종가가 이평선보다 위에 있으면 투자하고 아래에 있으면 현금을 보유하는 전략을 통해 어떤 단기 이평선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위 표가 그 결과인데요. 4일 이동평균선을 사용할 때 연평균 수익률은 24.9%, MDD는 -13%로 결과가 가장 좋았습니다. 

코스닥 시장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초단기 이동평균선이 코스닥 시장에서는 유리한 것으로 추측됩니다. 


중기 이평선으로는 50일

이번에는 중기 이평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중기 이평선으로 60일 많이 사용하시는데 어떤 중기 이평선이 코스닥에 가장 좋은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02년 1월 1일부터 2023년 8월 1일까지의 코스닥 지수를 이용하여 50, 55, 60, 65, 70, 75, 80, 85, 90일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코스닥 지수의 종가가 이평선보다 위에 있으면 투자하고 아래에 있으면 현금을 보유하는 전략을 통해 어떤 중기 이평선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위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50일 이동평균선이 연평균 수익률과 MDD 측면에서 가장 좋았습니다. 

단기 이평선 때와 마찬가지로 가장 짧은 이평선의 수익률이 가장 좋았는데 이는 코스닥의 변동성을 반영한 것 같습니다. 


장기 이평선으로는 100일

이번에는 장기 이평선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장기 이평선으로 150일 많이 사용하시는데 어떤 장기 이평선이 코스닥에 가장 좋은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2002년 1월 1일부터 2023년 8월 1일까지의 코스닥 지수를 이용하여 100, 150, 200, 250, 300일 이동평균선을 이용하여 코스닥 지수의 종가가 이평선보다 위에 있으면 투자하고 아래에 있으면 현금을 보유하는 전략을 통해 어떤 장기 이평선이 가장 효과적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위 표를 보면 100일 이평선이 그나마 수익률과 MDD 측면에서 가장 좋았지만 사실 수익률과 MDD를 고려하면 장기 이동평균선은 코스닥에 그리 좋은 것 같지 않습니다.

아무래도 코스닥이 변동성이 심하기 때문에 중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은 그리 도움은 안 되었고 단기 이평선을 활용하는 것이 좋은 전략으로 판단됩니다.


결론

이상으로 지금까지 코스닥 지수에 어떤 이평선을 사용하면 가장 좋은지에 관하여 알아봤습니다.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서 백테스트를 진행했는데 코스닥의 변동성으로 인해 중기와 장기 이평선은 코스닥에 그리 유용하지 않았습니다.

코스닥 지수에 투자하는 전략을 사용할 때에는 무조건 단기 이평선을 사용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이상으로 글 마치겠고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회사명:에임리치 주식회사 | 대표:서인곤 |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282 (관양동810) 금강펜테리움IT타워 B동 1115호 | 전화:1577-0471 | 개인정보관리책임자:서인곤
사업자등록번호:180-86-01032
 | 통신판매업번호:제 2020-안양동안-0818호 

CopyrightⓒAIM RIC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