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세계 실업률은 최저 수준입니다. 일자리 구하기가 너무나 쉽다는 것이죠. 그럼 경기가 아주 좋다는 건데요. 그럼 당연히 주식도 계속 오르는 게 인지상정 이겠죠.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요?
역사적인 최저 실업률

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3월 실업률은 3.6%에 도달했는데, 역사적 평균인 5.75%보다도 훨씬 낮으며 1950년경 이후로 최저 수준입니다. 지금처럼 일자리 구하기 쉬운 상황이 우리 인생에 자주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이죠.
한 번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들이 회사를 운영하는 사장입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웃돈을 주고서라도 직원을 채용해야 하고, 급하게 사람을 뽑아야 한다면. 대체 어떤 경우에 해당할까요?
당연히 회사가 너무 잘 되고, 앞으로 더 클 것으로 확신할 수 있을 때겠죠. 그래서 낮은 실업률은 곧 경기 호황을 의미합니다.
엥? 의왼데?

경기가 호황이면 당연히 주식이 올라야 하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습니다. 1948년부터 현재까지 통계를 낸 결과 실업률이 낮을수록 향후 주식시장의 전망이 어두워집니다.
우리는 현재 위 표에서 Quintile5(노란색)에 해당하는데, 그 어느 때보다 향후 1년 수익률에 대한 전망이 안좋습니다. 게다가 1년간 수익을 낼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오히려 실업률이 높은 수준인 Quintile1, 2 등의 경우에 투자했을 때 향후 수익률에 대한 전망도 좋고, 승률도 장기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대체 왜 그럴까요?
심리에 따라 돈도 몰린다

실업률이 낮고, 경기가 좋을 때는 모든 게 다 잘될 것 같습니다. 대출도 비교적 쉬울 때가 많고, 이자도 저렴할 때가 많죠. 그러다 보니 돈들이 다 과감해집니다. 그 돈들이 주식시장으로 흘러 들어오죠.
그래서 낮은 실업률일 때는 주식이 비싸지고 실업률이 높을 땐 주식이 저렴해지게 됩니다. 경기가 좋을 때, 사람들은 주식이 가치 대비 더 비싸더라도 신경을 덜 쓰고 투자한다는 의미가 되겠죠.
반대로 실업률이 높아지면 불경기입니다. 불경기엔 어떤가요? 직장에서 해고당하거나 내 사업이 잘 안되고, 돈도 잘 안돌죠. 그러다보니 대출 받기도 힘듭니다. 내 현실이 이런데 주식투자 할 마음의 여유가 있긴 할까요?
그러다보니 실업률이 높을 땐 아무리 좋은 주식도 비교적 가치 대비 저렴해질 수밖에 없게 되고, 그 때 투자하면 장기적인 승률이나 수익률이 높을 수 밖에 없게 됩니다.
많이 비싸긴 하네

역사적으로 낮은 실업률+가치 대비 고평가 된 주식의 조합은 특히 상당히 투자에 불리한 환경인데요. 지금이 딱 그렇습니다.
위 표는 S&P 500 Shiller CAPE Ratio로, 실제 가치와 대비해 주식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는지 알 수 있는 가치평가 지표 중 하나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2000년대 닷컴버블 이후로는 최대치 수준까지 폭등한 상황이고, 20년에 한 번 오는, 어쩌면 그보다도 더 큰 거대한 버블이 꺼져가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늘 뜻대로 되진 않는다
영화 빅쇼트의 실존 인물이자 공매도의 전설로 불리는 마이클 버리도 종종 실패하곤 합니다. 주식시장엔 엄청나게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해서 위 내용과 데이터는 일종의 ‘확률을 높여주는 정보’ 정도로 참고해주시는 것이 좋겠고요. ‘반드시’라는 것은 시장에 없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주세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PB입니다.
현재 전세계 실업률은 최저 수준입니다. 일자리 구하기가 너무나 쉽다는 것이죠. 그럼 경기가 아주 좋다는 건데요. 그럼 당연히 주식도 계속 오르는 게 인지상정 이겠죠. 과연 실제로도 그럴까요?
역사적인 최저 실업률
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3월 실업률은 3.6%에 도달했는데, 역사적 평균인 5.75%보다도 훨씬 낮으며 1950년경 이후로 최저 수준입니다. 지금처럼 일자리 구하기 쉬운 상황이 우리 인생에 자주 있는 일은 아니라는 것이죠.
한 번 상상해 보세요. 여러분들이 회사를 운영하는 사장입니다. 만약 여러분들이 웃돈을 주고서라도 직원을 채용해야 하고, 급하게 사람을 뽑아야 한다면. 대체 어떤 경우에 해당할까요?
당연히 회사가 너무 잘 되고, 앞으로 더 클 것으로 확신할 수 있을 때겠죠. 그래서 낮은 실업률은 곧 경기 호황을 의미합니다.
엥? 의왼데?
경기가 호황이면 당연히 주식이 올라야 하는데. 실제론 그렇지 않습니다. 1948년부터 현재까지 통계를 낸 결과 실업률이 낮을수록 향후 주식시장의 전망이 어두워집니다.
우리는 현재 위 표에서 Quintile5(노란색)에 해당하는데, 그 어느 때보다 향후 1년 수익률에 대한 전망이 안좋습니다. 게다가 1년간 수익을 낼 가능성이 상당히 낮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오히려 실업률이 높은 수준인 Quintile1, 2 등의 경우에 투자했을 때 향후 수익률에 대한 전망도 좋고, 승률도 장기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이었습니다. 대체 왜 그럴까요?
심리에 따라 돈도 몰린다
실업률이 낮고, 경기가 좋을 때는 모든 게 다 잘될 것 같습니다. 대출도 비교적 쉬울 때가 많고, 이자도 저렴할 때가 많죠. 그러다 보니 돈들이 다 과감해집니다. 그 돈들이 주식시장으로 흘러 들어오죠.
그래서 낮은 실업률일 때는 주식이 비싸지고 실업률이 높을 땐 주식이 저렴해지게 됩니다. 경기가 좋을 때, 사람들은 주식이 가치 대비 더 비싸더라도 신경을 덜 쓰고 투자한다는 의미가 되겠죠.
반대로 실업률이 높아지면 불경기입니다. 불경기엔 어떤가요? 직장에서 해고당하거나 내 사업이 잘 안되고, 돈도 잘 안돌죠. 그러다보니 대출 받기도 힘듭니다. 내 현실이 이런데 주식투자 할 마음의 여유가 있긴 할까요?
그러다보니 실업률이 높을 땐 아무리 좋은 주식도 비교적 가치 대비 저렴해질 수밖에 없게 되고, 그 때 투자하면 장기적인 승률이나 수익률이 높을 수 밖에 없게 됩니다.
많이 비싸긴 하네
역사적으로 낮은 실업률+가치 대비 고평가 된 주식의 조합은 특히 상당히 투자에 불리한 환경인데요. 지금이 딱 그렇습니다.
위 표는 S&P 500 Shiller CAPE Ratio로, 실제 가치와 대비해 주식이 얼마나 비싸게 거래되는지 알 수 있는 가치평가 지표 중 하나입니다.
보시는 것처럼 2000년대 닷컴버블 이후로는 최대치 수준까지 폭등한 상황이고, 20년에 한 번 오는, 어쩌면 그보다도 더 큰 거대한 버블이 꺼져가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늘 뜻대로 되진 않는다
영화 빅쇼트의 실존 인물이자 공매도의 전설로 불리는 마이클 버리도 종종 실패하곤 합니다. 주식시장엔 엄청나게 다양한 변수들이 존재하기 때문이죠.
해서 위 내용과 데이터는 일종의 ‘확률을 높여주는 정보’ 정도로 참고해주시는 것이 좋겠고요. ‘반드시’라는 것은 시장에 없다는 사실을 꼭 기억해주세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