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자들은 공매도를 통해서 주식이 떨어져도 수익을 낼 수 있어요. 하지만 개인들은 쉽지 않은데요, 그렇다고 완전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에요. 인버스 ETF라는게 있거든요.
인버스 ETF는 뭔데?
인버스(Inverse)는 ‘정반대’라는 의미로, 주가가 떨어지면 오히려 수익이 나는 ETF에요. 가령 코스피 지수가 -1% 떨어지면 1% 수익이 나는 ETF도 있고, 2% 수익이 나는 속칭 곱버스도 있어요.
한국 증시뿐 아니라 미국이나 중국 증시 등 왠만한 곳에는 전부 하락을 배팅해서 돈을 벌 수 있죠! 우선 오늘은 우리나라랑 미국의 대표적인 인버스 ETF 상품을 몇 가지 알아볼게요.
한국
▶ KODEX 인버스 : 코스피200 지수가 -1% 떨어지면 1% 수익이 나요.
▶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 코스닥150 지수 인버스에요.
▶ KODEX선물인버스2X : 코스피200이 -1% 떨어지면 2% 수익이 나요. 그 유명한 곱버스
미국
미국은 자본주의 선진국답게 좀 더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최대 인버스 3배 상품까지(!!!) 존재하는데요.
▶ S&P 500 : SH(-1배), SDS(-2배), SPXU(-3배)
▶ 나스닥100 : PSQ(-1), QID(-2), SQQQ(-3)
▶ 다우지수 : DOG(-1), DXD(-2), SDOW(-3)
너 그거 아니?
위 차트 보이죠? 주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해요. 잠깐 하락하는 시기를 맞춰서 진입하고 수익을 낸다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투자의 고수들도 꺼리는 방법이죠. 그래서 장기간 투자할수록 불리해요.
또, ETF에는 거래상대방 위험이라고 해서 어쩌다가 ETF를 굴리는 회사가 잘못하면 내 돈이 다 날라갈 수도 있어요. 물론 그럴 일은 상당히 드물긴 하지만요.
마지막으로 인버스 ETF는 추적오차라는게 있어요. 꼭 지수가 -1% 떨어진다고 +1% 수익이 나진 않아요. 거의 동일하게 움직이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알 건 알고 가야죠!
알아야 될 것은?
그래서 주식투자를 하는 분들은 인버스를 같이 담기도 해요. 내 예상대로 주식이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하락하더라도 인버스 ETF를 같이 들고있으면 손실을 일정 부분 막아주니까요.
다양한 리스크가 있으니 오랜 시간 투자하기 보다는 3~6개월의 보유기간을 넘지 않도록 투자하는 게 좋겠어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김PB입니다.
기관투자자들은 공매도를 통해서 주식이 떨어져도 수익을 낼 수 있어요. 하지만 개인들은 쉽지 않은데요, 그렇다고 완전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에요. 인버스 ETF라는게 있거든요.
인버스 ETF는 뭔데?
인버스(Inverse)는 ‘정반대’라는 의미로, 주가가 떨어지면 오히려 수익이 나는 ETF에요. 가령 코스피 지수가 -1% 떨어지면 1% 수익이 나는 ETF도 있고, 2% 수익이 나는 속칭 곱버스도 있어요.
한국 증시뿐 아니라 미국이나 중국 증시 등 왠만한 곳에는 전부 하락을 배팅해서 돈을 벌 수 있죠! 우선 오늘은 우리나라랑 미국의 대표적인 인버스 ETF 상품을 몇 가지 알아볼게요.
한국
▶ KODEX 인버스 : 코스피200 지수가 -1% 떨어지면 1% 수익이 나요.
▶ KODEX코스닥150선물인버스 : 코스닥150 지수 인버스에요.
▶ KODEX선물인버스2X : 코스피200이 -1% 떨어지면 2% 수익이 나요.
그 유명한 곱버스미국
미국은 자본주의 선진국답게 좀 더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최대 인버스 3배 상품까지(!!!) 존재하는데요.
▶ S&P 500 : SH(-1배), SDS(-2배), SPXU(-3배)
▶ 나스닥100 : PSQ(-1), QID(-2), SQQQ(-3)
▶ 다우지수 : DOG(-1), DXD(-2), SDOW(-3)
너 그거 아니?
위 차트 보이죠? 주식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해요. 잠깐 하락하는 시기를 맞춰서 진입하고 수익을 낸다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일이에요. 투자의 고수들도 꺼리는 방법이죠. 그래서 장기간 투자할수록 불리해요.
또, ETF에는 거래상대방 위험이라고 해서 어쩌다가 ETF를 굴리는 회사가 잘못하면 내 돈이 다 날라갈 수도 있어요. 물론 그럴 일은 상당히 드물긴 하지만요.
마지막으로 인버스 ETF는 추적오차라는게 있어요. 꼭 지수가 -1% 떨어진다고 +1% 수익이 나진 않아요. 거의 동일하게 움직이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알 건 알고 가야죠!
알아야 될 것은?
그래서 주식투자를 하는 분들은 인버스를 같이 담기도 해요. 내 예상대로 주식이 상승하지 않고 오히려 하락하더라도 인버스 ETF를 같이 들고있으면 손실을 일정 부분 막아주니까요.
다양한 리스크가 있으니 오랜 시간 투자하기 보다는 3~6개월의 보유기간을 넘지 않도록 투자하는 게 좋겠어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