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개미 사단장입니다.
오늘은 주주에게 잘해주는 회사에 투자하면 한국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아야 한다
주주에게 잘해주는 회사라… 표현이 참 애매하고 어떤 지표와 수치를 사용해야할지 어렵습니다.
이 어려움은 ‘주주수익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주수익률은 “배당수익률 +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수익률”을 뜻합니다.
배당금을 통해 주주들은 당장의 현금을 얻고 자사주 매입으로 주식 수가 줄어들며 주당 순이익이 높아져 주주들은 주가 상승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으면 현금도 얻고 주가도 상승하니 그야말로 일석이조입니다.
주주수익률의 10분위 수익
금융주, 지주사, 관리종목, 중국기업을 제외한 한국 시장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한 주주수익률의 10분위 수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왼쪽부터 주주수익률 상위 10%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예상할 수 있었듯이 주주수익률이 높은 주식들의 수익률이 높았습니다.
그런데 하위 10%와 하위 20%의 수익률이 높은 것이 꽤 의외였습니다.
성장주들은 당장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환원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주주수익률이 낮은데 성장주가 주주수익률 하위권에 포함되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측됩니다.
주주수익률 높은 순서대로 20종목 무지성 매수
금융주, 지주사, 관리종목, 중국기업을 제외한 한국 시장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분기별 리밸런싱으로 주주수익률 높은 순서대로 20종목을 매수했을 때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때 거래 수수료는 0.1%로 잡았습니다.


연평균 수익률이 24.3%로 코스피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그렇지만 MDD가 코스피 지수보다 높다는 점에서 아쉬웠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은 주식만 매수하면 성장주를 놓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주수익률 조건에 분기 매출액 성장률과 분기 순이익 성장률이라는 조건을 추가했습니다. 이 전략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주수익률에 성장이라는 조건을 추가하니 단순하게 주주수익률만 이용한 전략보다 연평균 수익률과 MDD 측면에서 더 좋아졌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주주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에게 높은 수익률을 안겨주는 회사에 투자하면 투자자의 연평균 수익률이 높은 것을 우리는 백테스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무작정으로 주주수익률이 높은 회사에 투자하면 성장주에 투자를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글 마치겠고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개미 사단장입니다.
오늘은 주주에게 잘해주는 회사에 투자하면 한국에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아야 한다
주주에게 잘해주는 회사라… 표현이 참 애매하고 어떤 지표와 수치를 사용해야할지 어렵습니다.
이 어려움은 ‘주주수익률’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주주수익률은 “배당수익률 + 자사주 매입으로 인한 수익률”을 뜻합니다.
배당금을 통해 주주들은 당장의 현금을 얻고 자사주 매입으로 주식 수가 줄어들며 주당 순이익이 높아져 주주들은 주가 상승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으면 현금도 얻고 주가도 상승하니 그야말로 일석이조입니다.
주주수익률의 10분위 수익
금융주, 지주사, 관리종목, 중국기업을 제외한 한국 시장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분기별 리밸런싱을 통한 주주수익률의 10분위 수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왼쪽부터 주주수익률 상위 10%입니다. 많은 분들께서 예상할 수 있었듯이 주주수익률이 높은 주식들의 수익률이 높았습니다.
그런데 하위 10%와 하위 20%의 수익률이 높은 것이 꽤 의외였습니다.
성장주들은 당장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환원해 줄 수 없기 때문에 주주수익률이 낮은데 성장주가 주주수익률 하위권에 포함되어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측됩니다.
주주수익률 높은 순서대로 20종목 무지성 매수
금융주, 지주사, 관리종목, 중국기업을 제외한 한국 시장에서 200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27일까지 분기별 리밸런싱으로 주주수익률 높은 순서대로 20종목을 매수했을 때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때 거래 수수료는 0.1%로 잡았습니다.
연평균 수익률이 24.3%로 코스피 지수 대비 높은 수익률을 보여줬습니다. 그렇지만 MDD가 코스피 지수보다 높다는 점에서 아쉬웠습니다.
주주수익률이 높은 주식만 매수하면 성장주를 놓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주주수익률 조건에 분기 매출액 성장률과 분기 순이익 성장률이라는 조건을 추가했습니다. 이 전략의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주주수익률에 성장이라는 조건을 추가하니 단순하게 주주수익률만 이용한 전략보다 연평균 수익률과 MDD 측면에서 더 좋아졌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주주수익률에 대하여 알아봤습니다.
배당과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주에게 높은 수익률을 안겨주는 회사에 투자하면 투자자의 연평균 수익률이 높은 것을 우리는 백테스트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무작정으로 주주수익률이 높은 회사에 투자하면 성장주에 투자를 못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이상으로 글 마치겠고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