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투자 쉽게 하자, 김피비입니다.
오늘도 인도에 주목할만한 주식 하나를 들고 왔습니다. 요즘에 베트남, 인도 주식들을 찾느라 바쁘게 보내고 있는데요.
이 기업도 되게 흥미로운 사업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 번 분석해보게 됐습니다. 바로 알아보시죠.
어떤 회산데?

RHI(RHIM)은 특수 내화물 제조 기업입니다. 내화물이라는 단어가 좀 생소한데요. 철강, 유리, 시멘트 등을 만드는 공장은 업무 특성상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제품을 다룹니다.
그럼 당연히 높은 온도 설비와 제품에 문제가 없어야 할텐데요. 이걸 도와주는 회사가 바로 RHI입니다.
위 그림처럼 RHI의 내화물 제품이 철강 등의 공장 설비에 위처럼 설치되어 튼튼하게 고온에도 설비가 견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RHI's Value Chain

RHI는 내화물 분야에서 원재료 채광->원료 생산->납품->서비스->폐내화물 폐기, 재활용까지 원스톱 밸류체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밸류체인 구조는 원자재 가격 변동, 거래처 리스크를 최소화 시키는 좋은 결과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필수 부자재
고온으로 작업하는 철강, 시멘트, 석회, 비철금속, 유리, 에너지, 화학, 환경 등 수많은 산업은 내화물 없이는 산업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결국 RHI의 제품은 지속적인 수요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내화물은 짧게는 하루에도 여러번, 길게는 10년 이상에 한 번 씩은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의 공정들이 돌아가면서 갈수록 설치했던 내화물의 내구도가 낮아지고, 결국 안전이나 효율 등의 이유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HI VS 조선내화

조선내화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한국 내화물 제조기업입니다. 동종 업계의 한국 기업이니 RHI와 함께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RHI는 조선내화에 비해 6배 큰 시총을 갖고 있으나, 이익은 각각 440억, 330억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배당도 조선내화가 더 많이 주고 있고요.
왜이리 비싸?
그럼에도 RHI의 주가가 조선내화 대비 크게 비싼 이유가 뭘까요? 성장성과 시장점유율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는데요.
우선 RHI는 전세계를 타겟으로, 조선내화는 주로 한국의 포스코를 중점적으로 매출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또, RHI는 연평균 30% 고속성장을 하고 있고, 조선내화는 매출이 크게 늘지 않고 있죠. 마진도 RHI가 더 좋고, ROE나 ROA도 압도적으로 크게 차이가 납니다. RHI가 재무적으로도 더 안정적인 기업이고요.
즉, 기업 효율성이나 성장성, 안전성 등 기업의 매력도 측면에서는 RHI가 압도적입니다. 그만큼 주가도 시장에서 고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메리트 있나?

그럼에도 RHI의 PBR은 9, PER은 33 수준으로 조선내화와 비교했을 때 순자산 측면에서는 30배 비싸고, 수익 측면에서는 3배 이상 비쌉니다.
과거의 PER, PBR 수준을 고려해보면 현재보다 낮은 수준인데요. 즉 RHI의 주가는 버블이 어느정도 끼어있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와 같은 성장세가 앞으로도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서 PER 25정도가 적정 밸류로 보이고, 성장세가 유지되는데 PER이 20 이하로 평가된다면 가격 메리트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꽤 매력적인 기업이기는 한데 확실히 주가가 좀 비싼 것 같네요. 주가가 가치 대비 좀 저렴해지면 관심을 가져봐야겠습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투자 쉽게 하자, 김피비입니다.
오늘도 인도에 주목할만한 주식 하나를 들고 왔습니다. 요즘에 베트남, 인도 주식들을 찾느라 바쁘게 보내고 있는데요.
이 기업도 되게 흥미로운 사업을 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 번 분석해보게 됐습니다. 바로 알아보시죠.
어떤 회산데?
RHI(RHIM)은 특수 내화물 제조 기업입니다. 내화물이라는 단어가 좀 생소한데요. 철강, 유리, 시멘트 등을 만드는 공장은 업무 특성상 1,000도 이상의 고온으로 제품을 다룹니다.
그럼 당연히 높은 온도 설비와 제품에 문제가 없어야 할텐데요. 이걸 도와주는 회사가 바로 RHI입니다.
위 그림처럼 RHI의 내화물 제품이 철강 등의 공장 설비에 위처럼 설치되어 튼튼하게 고온에도 설비가 견딜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RHI's Value Chain
RHI는 내화물 분야에서 원재료 채광->원료 생산->납품->서비스->폐내화물 폐기, 재활용까지 원스톱 밸류체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밸류체인 구조는 원자재 가격 변동, 거래처 리스크를 최소화 시키는 좋은 결과를 만들어줄 수 있습니다.
필수 부자재
고온으로 작업하는 철강, 시멘트, 석회, 비철금속, 유리, 에너지, 화학, 환경 등 수많은 산업은 내화물 없이는 산업도 존재할 수 없습니다.
결국 RHI의 제품은 지속적인 수요가 있다는 얘기인데요. 내화물은 짧게는 하루에도 여러번, 길게는 10년 이상에 한 번 씩은 교체를 해주어야 합니다.
다양한 산업의 공정들이 돌아가면서 갈수록 설치했던 내화물의 내구도가 낮아지고, 결국 안전이나 효율 등의 이유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RHI VS 조선내화
조선내화는 국내 시장점유율 1위 한국 내화물 제조기업입니다. 동종 업계의 한국 기업이니 RHI와 함께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RHI는 조선내화에 비해 6배 큰 시총을 갖고 있으나, 이익은 각각 440억, 330억으로 큰 차이가 없습니다. 배당도 조선내화가 더 많이 주고 있고요.
왜이리 비싸?
그럼에도 RHI의 주가가 조선내화 대비 크게 비싼 이유가 뭘까요? 성장성과 시장점유율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는데요.
우선 RHI는 전세계를 타겟으로, 조선내화는 주로 한국의 포스코를 중점적으로 매출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또, RHI는 연평균 30% 고속성장을 하고 있고, 조선내화는 매출이 크게 늘지 않고 있죠. 마진도 RHI가 더 좋고, ROE나 ROA도 압도적으로 크게 차이가 납니다. RHI가 재무적으로도 더 안정적인 기업이고요.
즉, 기업 효율성이나 성장성, 안전성 등 기업의 매력도 측면에서는 RHI가 압도적입니다. 그만큼 주가도 시장에서 고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메리트 있나?
그럼에도 RHI의 PBR은 9, PER은 33 수준으로 조선내화와 비교했을 때 순자산 측면에서는 30배 비싸고, 수익 측면에서는 3배 이상 비쌉니다.
과거의 PER, PBR 수준을 고려해보면 현재보다 낮은 수준인데요. 즉 RHI의 주가는 버블이 어느정도 끼어있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와 같은 성장세가 앞으로도 유지된다는 전제 하에서 PER 25정도가 적정 밸류로 보이고, 성장세가 유지되는데 PER이 20 이하로 평가된다면 가격 메리트가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꽤 매력적인 기업이기는 한데 확실히 주가가 좀 비싼 것 같네요. 주가가 가치 대비 좀 저렴해지면 관심을 가져봐야겠습니다.
위 정보는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