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iX 고성능 전기차에 삼성 SDI의 배터리가 들어갔습니다. 1회 완충 시 국내 기준 주행거리가 무려 447km라고 하는데요. 삼성 SDI가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 함께 시너지를 내며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떠오르는 배터리 시장의 강자, 삼성 SD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SDI
명칭은 삼성SDI 주식회사이고, 영문명은 SAMSUNG SDI CO. LTD예요. SDI는 Samsung Display interface의 약자로 디스플레이 사업을 주로 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사업구조가 바뀌면서 고유명사로 불리는데요. 대표적인 배터리 관련 주 중 하나로 전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0위 안에 드는 회사예요.
주요 사업

삼성SDI는 소형전지, 자동차전지, ESS 등의 리튜이온 2차 전지를 생산하고 판매를 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 부문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요. 21년 11월 분기 보고서 기준으로 매출 비중은 에너지솔루션이 81%, 전자재료 19%예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에 대한 판매는 매출이 1조 9000억 원이지만 비중이 19%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요.
1️⃣ 에너지솔루션
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사업 부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크게 중·소형 전지와 대형전지로 나누어져요.
소형전지는 원형, 각형, 폴리머전지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는데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IT 기기뿐만 아니라 전동공구, 전기 자전거 등 배터리가 들어가는 다양한 제품들에 전부 들어가요.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 스마트폰에도 당연히 들어가요.
대형전지는 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용으로 고효율, 고용량으로 개발하고 있어요. 전기차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대형전지는 매출에 상당수를 기여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고객사로 BMW, 폭스바겐이 있어요.
기본적으로 기업들에게 직접 배터리를 공급하며 그 비중이 88%라고 해요. 나머지는 대리점을 경유해서 판매하고 있어요.
2️⃣ 전자재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소재가 주를 이루는데요. 반도체, LCD 등 기존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강력하며 차세대 TV인 OLED 소재나 미래 반도체 소재와 같이 첨단 소재 시장까지 넓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넘어야 할 위기

화재 리스크
BMW와 포드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화재로 리콜되면서 장착된 삼성SDI 배터리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는데요. 화재가 일어난 근거를 찾기가 쉽지 않아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가 리콜 비용을 같이 부담하는 추세예요.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대중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온도 변화, 외부 충격 등에 대한 화재 폭발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이를 해결할 전고체 배터리로 전환이나 분리막 기술 도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삼성SDI 영업이익

2018년부터 자동차 배터리와 전력저장장치(ESS)가 주목을 받으면서 급격히 성장했지만 2019년부터는 배터리 안정성 강화를 위한 비용이 추가되면서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어요.
하지만 매출은 지속적으로 성장했고 2021년 13조 원을 돌파하면서 최대 영업이익 1조 2천억 원을 찍었어요. 앞으로도 자동차 배터리 시장은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와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로 인해 계속 성장할 거예요.
삼성SDI의 PER은 국내 1위 배터리 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에 약 112배 낮았던 적도 있었는데요. 다양한 관점에서 주가의 가격을 살펴보고 삼성SDI를 지켜보시면 어떨까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적게 일하고 많이 버세요, 크립토정입니다. 😊
영업이익 1조 원, BMW IX에 삼성 배터리 탑재
BMW IX 사진 ⓒ BMW Korea
BMW iX 고성능 전기차에 삼성 SDI의 배터리가 들어갔습니다. 1회 완충 시 국내 기준 주행거리가 무려 447km라고 하는데요. 삼성 SDI가 급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시장에 함께 시너지를 내며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떠오르는 배터리 시장의 강자, 삼성 SDI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삼성SDI
명칭은 삼성SDI 주식회사이고, 영문명은 SAMSUNG SDI CO. LTD예요. SDI는 Samsung Display interface의 약자로 디스플레이 사업을 주로 하고 있었으나 지금은 사업구조가 바뀌면서 고유명사로 불리는데요. 대표적인 배터리 관련 주 중 하나로 전 세계 배터리 시장 점유율 10위 안에 드는 회사예요.
주요 사업
삼성SDI는 소형전지, 자동차전지, ESS 등의 리튜이온 2차 전지를 생산하고 판매를 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 부문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요. 21년 11월 분기 보고서 기준으로 매출 비중은 에너지솔루션이 81%, 전자재료 19%예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에 대한 판매는 매출이 1조 9000억 원이지만 비중이 19%로 적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요.
1️⃣ 에너지솔루션
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사업 부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크게 중·소형 전지와 대형전지로 나누어져요.
소형전지는 원형, 각형, 폴리머전지 등의 제품을 개발 및 판매하고 있는데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IT 기기뿐만 아니라 전동공구, 전기 자전거 등 배터리가 들어가는 다양한 제품들에 전부 들어가요. 삼성전자의 스마트워치, 스마트폰에도 당연히 들어가요.
대형전지는 주로 전기자동차 배터리용으로 고효율, 고용량으로 개발하고 있어요. 전기차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대형전지는 매출에 상당수를 기여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고객사로 BMW, 폭스바겐이 있어요.
기본적으로 기업들에게 직접 배터리를 공급하며 그 비중이 88%라고 해요. 나머지는 대리점을 경유해서 판매하고 있어요.
2️⃣ 전자재료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 들어가는 소재가 주를 이루는데요. 반도체, LCD 등 기존 시장에서의 지배력이 강력하며 차세대 TV인 OLED 소재나 미래 반도체 소재와 같이 첨단 소재 시장까지 넓히도록 노력하고 있어요.
넘어야 할 위기
화재 리스크
BMW와 포드의 하이브리드 차량이 화재로 리콜되면서 장착된 삼성SDI 배터리에 대한 문제를 제기했는데요. 화재가 일어난 근거를 찾기가 쉽지 않아 자동차 업체와 배터리 업체가 리콜 비용을 같이 부담하는 추세예요.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대중화된 리튬이온 배터리는 온도 변화, 외부 충격 등에 대한 화재 폭발 위험이 있을 수밖에 없는데요. 그래서 이를 해결할 전고체 배터리로 전환이나 분리막 기술 도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삼성SDI 영업이익
2018년부터 자동차 배터리와 전력저장장치(ESS)가 주목을 받으면서 급격히 성장했지만 2019년부터는 배터리 안정성 강화를 위한 비용이 추가되면서 영업이익이 다소 감소했어요.
하지만 매출은 지속적으로 성장했고 2021년 13조 원을 돌파하면서 최대 영업이익 1조 2천억 원을 찍었어요. 앞으로도 자동차 배터리 시장은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 확대와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로 인해 계속 성장할 거예요.
삼성SDI의 PER은 국내 1위 배터리 회사인 LG에너지솔루션에 약 112배 낮았던 적도 있었는데요. 다양한 관점에서 주가의 가격을 살펴보고 삼성SDI를 지켜보시면 어떨까요?
위 정보는 주식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