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코인(Dead Coins)은 죽어서도 거래된다(2)

관리자
2022-11-21
조회수 2231

안녕하세요, 뉴 웨이브(New Wave🌊)입니다. 


(1)편에 이어서 계속 보겠습니다.


죽은 코인의 역사

데드 코인으로 분류되는 경우는 버려졌거나, 사기(스캠)로 사용되었거나, 웹사이트가 다운되었거나, 노드가 없거나, 지갑 문제가 있거나, 소셜네트워크 업데이트가 없거나, 거래량(Volume)이 적거나, 개발자가 프로젝트에서 떠났거나 할 때인데요.

아래는 실제 데드 코인으로 분류된 대표적인 프로젝트 3개를 들고 왔습니다.


☑️ 원코인(ONE)

OneCoin은 사기 코인 중 효시 격으로 불리는 2014년에 출시된 스캠 코인입니다. 창립자인 이그나토바(Ruja Ignatova)는 자칭 ‘크립토여왕(CryptoQueen)’이라며, 영국 런던에 위치한 웸브리 아레나(Wembley Arena)를 포함하여 전 세계 주요 컨벤션센터에서 화려한 이벤트를 열었더랬죠.

그곳에서 그녀는 원코인을 ‘비트코인 킬러’라고 선전했고, 수백만 명의 투자자는 새로운 투자자의 돈을 사용하여 기존 투자자에게 수익을 지불하는 $40억 규모의 다단계(Ponzi) 사기를 수년이 지나서야 알게 되었죠.

그렇게 그녀는 ‘18년부터 종적을 감췄고, 위 사진과 같이 올해 7월, FBI는 $10만 보상금을 걸면서까지 이그나토바를 ‘최고지명수배 도망자 10인’ 명단에 추가하기도 했어요.

그녀는 투자자들로부터 사취한 수조 원으로 사람들을 매수하여, 수년간 성공적인 도망자 생활 중이라는 풍문이 전해집니다.


☑️ GetGems(GEMZ)

(사진 = 실제 GetGems가 개발한 모바일 앱 구동화면)

GetGems는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소셜 메시징 앱이었습니다. 유저들은 지인을 가입하도록 초대하여 더 많은 GEMZ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GetGems는 ‘15년에 설립하고 크라우드 펀딩에서 약 $100만을 모금했습니다. 이후 16년 하반기(약 10월)까지는 업데이트와 꾸준한 프로젝트 개발에 대한 노력도 보여주고 성과를 공개하기도 했죠.

그러나 거기까지입니다. 코인마켓캡 데이터에 따르면 거래가 완전히 중단되기 전인 ‘17년 5월 가격은 $0.0579까지 치솟았더랬죠.

즉 투자자들은 프로젝트 개발자들이 도망쳐도, 도망친 사실을 동시간대로 알 길 없으니, 거래소에서 반년 넘도록 사고팔기를 지속했다는 겁니다.


☑️ 나노헬스케어 토큰(NHCT)

나노헬스케어 토큰(NHCT)은 인도 기반 토큰으로 의료의 현실을 바꾸기 위해 ‘18년 Manish Ranjan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블록체인을 사용해 데이터 보안 및 높은 비용과 같은 체계적인 의료 문제를 해결하여 우리 삶에 영향을 미치고자 했더랬죠.

더불어 사진을 보시는 거와 같이, 오프라인 컨벤션행사에서 부수도 운영하며 세미나를 진행했어요.

하지만 트위터 피드에 업데이트는 ‘20년 4월이 마지막이었습니다. 이후 웹사이트는 접근조차 할 수 없었고요. 이로써 Coinopsy는 해당 토큰을 거래량도 없고 개발자로부터 버려진 데드 코인의 항목으로 추가시켰죠.


피하는 건 무리였을까?

지금까지 2,426개 데드 코인 중 단 3개의 사례를 살펴봤는데요. 이들은 투자자들을 치밀하게 잘 속인 역사적인 스캠 코인이기도 합니다.

참고로 원코인은 ‘14년에 출시하자마자 두바이은행 금고에 저장된 금으로 코인의 가치를 백업하는 Aurum Gold Coin(AGC)와 제휴를 맺고, 홍콩 사무실을 오픈했어요.

이후, 자체 거래소 오픈하고 감사보고서까지 공개했습니다. 그러고는 데이터 암호화 보호 프로그램도 출시하고, 인수합병으로 몸집을 키워 ‘17년 3월엔 회원 수 300만 명을 달성했죠.

밟아온 로드맵만 보면 흠잡을 데 없고 오히려 훌륭한 커리어라는 인상을 줍니다.

GetGems 같은 경우도 350,000건 이상의 앱 다운로드와 2,500개 이상의 리뷰, iOS 스토어 4.6 평점과 안드로이드 스토어 4.5 평점을 유지, 월간 활성 사용자 5만 명을 넘기던 때가 있었어요. 이는 아주 유망한 스타트업처럼 보입니다.


보는 게 힘

이처럼 목적의식을 가지고 작정하고 덤비는 사람을 피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전부 못 피하는 건 아니에요. 나노헬스케어 토큰은 당시 웹 업데이트 관리 상태만 모니터링했다면, 트위터 업데이트가 지속된 ‘20년까지 토큰을 거래하는 최악의 경우는 피할 수 있었을 거예요.

인스타그램만 봐도, ‘18년 12월 이후 피드 업데이트가 없었어요. 이 방법은 이전 콘텐츠에서도 언급한 방법론이기도 한데요. 코인사에서 커뮤니티 관리가 소홀하다면, 인력이 부족하거나 경영 노하우가 없거나, 프로젝트 자체에 대한 관심도가 낮다고 볼 수 있어요.

무엇보다 우리도 사기를 걸러낼 수 있는 리트머스지(Litmus Paper)를 둬야겠는데요. 코인사 프로젝트의 개발과정과 업데이트 진행 상태를 실질적으로 볼 수 있는, 깃허브(Github) 오픈소스를 둘러보는 건 매우 중요할 겁니다.

예컨대 콘코디움(CCD)깃허브 프로젝트를 살펴보시면(사진 좌측), 저장소(Repositories) 업데이트가 시간 단위로 활성화되지만, OST 코인(사진 우측)은 비교적 더디게 업데이트됩니다. 활성화가 잘 된다는 것은 개발사가 열일한다고 볼 수 있겠죠.


마치며

이외에도 깃허브를 통해 개발자가 코드를 수정하는 커밋(Commit)을 확인하시거나, 각 저장소 상세 정보에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관심을 가지는지 살피면 좋을 텐데요.

이로써 프로그래밍 언어나 개발에 문외한이어도, 다른 유저들의 지지와 반응을 읽으실 수 있겠습니다만, 이 과정도 복잡하시다면, 최소한 저장소 활성화 상태만큼은 꼭 살펴보셔서 프로젝트가 살아 숨 쉬고 있는지, 개발자들의 열정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드러나는지 점검 바라겠습니다.

모쪼록 글을 마무리하는 시점, 데드 코인은 또 추가되어 2,427개가 되었는데요. 성공 모델을 보는 것만큼 실패 모델을 접하는 것도 좋은 학습이듯이, 앞으로 데드 코인으로 새롭게 편입되는 코인 중 흥미로운 사인(死因)이 있다면, 세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정보는 암호화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하는 것으로,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습니다. 제공되는 정보는 오류 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에임리치는 제공된 정보에 의한 투자 결과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0 0

 

회사명:에임리치 주식회사 | 대표:서인곤 | 주소: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282 (관양동810) 금강펜테리움IT타워 B동 1115호 | 전화:1577-0471 | 개인정보관리책임자:서인곤
사업자등록번호:180-86-01032
 | 통신판매업번호:제 2020-안양동안-0818호 

CopyrightⓒAIM RICH. All Rights Reserved.